전기기기 / 직류전동기 - 전기기능사 필기 핵심 요약
※ 전기기능사 필기 시험 대비 핵심 요약입니다.
시험에 잘 나오는 것 중에서 딱 필요한 내용만 요약 정리한 것으로 기본 학습이 되어 있으면 바로 이해가 될 것입니다.
기초가 없으신 분도 그냥 통으로 외우면 시험에서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자세히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딱 필요한 것만 정리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 무조건 출제가 되는 내용으로 반드시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빨간색] 핵심이 되는 내용으로 문제 풀이 중 정답을 빨리 찾을 수 있으니 잘 정리 하시기 바랍니다.
[※] 부가되는 내용, 참고 내용, 정리 요약 내용으로 이해를 도와주는 부분이니 참고 바랍니다.
* 특수문자 입력의 어려움이 있으니 공식은 신경써서 보시기 바랍니다.
[전기기능사] 필기
[전기기기]
[직류전동기]
# 직류전동기 : 플레밍의 왼손 법칙
# 타여자 전동기
ㅡ 토크 T [N·m]
# 자여자전동기
★ ㅡ 토크 大 → 小 : 직권 → 가동복권 → 분권 → 차동복권
※ 직가분차로 암기
★ # 직권전동기
ㅡ 무부하 운전, 벨트 운전 절대 불가 (위험)
ㅡ 기동토크가 크다 (전동차, 권상기, 크레인)
★ # 무여자 상태(위험상태, 무부하 상태)
ㅡ 위험 상태 : 정격전압에 무부하 상태(벨트가 벗겨진 상태), 무여자 상태
ㅡ 방지책 : 기어나 체인으로 운전 (벨트 운전 불가)
★ # 분권전동기
ㅡ 계좌 회로에 퓨즈 삽입 불가 (위험)
ㅡ 정속도 전동기 ( 속도 변동률 거의 없다.) : 공작기계, 압연기 보조용, 선박의 펌프용, 환기용 선풍기
★ # 무여자 상태 : 계자회로에 퓨즈 삽입 금지
★ # 전기자에 흐르는 전류나 계자에 흐르는 전류가 똑같이 바뀌기 때문에 입력 전원의 극성을 바꾸어도 회전방향은 그대로다.
ㅡ 반대로 하려면 접속을 바꾼다.
# 속도 변동률
ㅡ 속도 변동률 大 → 小 : 직권 → 가동복권 → 분권 → 차동복권
★ # 속도 제어
ㅡ 계자 제어법 ( 자속을 조정) : 정출력 제어법
ㅡ 전압 제어법 (전압을 조정) : 정토크 제어법
- 광범위하게 하기 위해서 전압제어를 한다
- 위드레오나드, 일그너, 직·병렬제어 방법
- 속도 효율이 가장 좋다.
ㅡ 저항제어법
- 손실이 크기 때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속도 효율 낮다.
# 제동
ㅡ 발전제동
ㅡ 회생제동 : 전력회수
- 전동기 단자전압 < 전동기 역기전력 => 전류가 역류되어 제동하는 방식
★ ㅡ 역상제동 : 역전, 플러깅, 급속정지
- 회전 중에 계자 또는 전기자 전류의 방향을 전환시켜 반대 방향의 토크를 발생시켜 제동
- 순간적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결점이 있다. (플러깅)
# 기동
ㅡ 기동 시 : 기동전류를 제한(작게) 한다. => R(기동저항)을 최대 상태로
ㅡ 운전 시 : R(기동저항)은 최소 상태
★ # 손실
철손 <=> 동손
고정손 <=> 가변손
무부하손 <=> 부하손
기계손(마찰손, 베어링손, 풍손)
# 규약 효율
n = (입력 - 손실) ÷ 입력 × 100 [%]
※ 발전기 규약 효율 n = 출력 ÷ (출력 + 손실) × 100 [%]
※ 발(변)전기 전부하 효율 n = 출력 ÷ (출력 + 철손 + 동손) × 100 [%]
★ # 철손(무부하손)의 방지법
ㅡ 와류손(맴돌이전류손) : 철심성층
ㅡ 히스테리시스손 : 규소강판
※ 와철히규로 암기
# 최대 효율 조건
ㅡ 고정손과 가변손이 같을 때
ㅡ 철손이 동손과 같을 때
ㅡ 무부하손이 부하손과 같을 때
※ 손실에서 외운 순서와 같다.
★ # 부하전류와 속도 특성 곡선
ㅡ 그래프 왼쪽 상단에서 아래로 : 직권 - 가동복권 - 분권 - 차동복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