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WLEDGE4 한국형 제시카법이 뭔가요? 최근 신문과 방송 뉴스에 '한국형 제시카법'이라는 말이 많이 나온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사진과 함께 입법을 예고했다는 기사를 자주 보았다. 위헌 논란도 있고 언제나처럼 여야의 입장차이가 있는 내용이다. 여기서 '제시카법'이 무엇인지, '한국형 제시카법'은 또 무엇인지 알아야 이해를 하고 평가를 할 것이 아닌가. 제시카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미국 전역에 큰 분노를 일으킨 사건이 2005년 2월 24일 플로리다주에서 발생하였다. 아동 성폭행 전과자인 존 코이에 의해 고작 9세인 어린 소녀 제시카 런스퍼드가 성폭행을 당하고 살해된 것이다. 23일만에 매장된 제시카의 시신이 발견되고 범인으로 존 코이가 체포되면서 사건이 알려졌고 미국 사회는 분노하였다. 놀라운 사실은 존 코이가 아동 성범죄 전과 2범으로 .. 2023. 10. 30. 건강보험 적용 '스케일링' – 이가 갈리고 치가 떨리지만 1년에 한 번씩 받아보자. 건강보험 적용 '스케일링' – 이가 갈리고 치가 떨리지만 1년에 한 번씩 받아보자 이런 말을 사용하는 하거나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가 갈린다.’ ‘치가 떨린다.’ 보통은 분노와 같은 격한 감정을 표현할 때에 쓰는 말이다. 드라마나 영화에서는 곧잘 나오곤 하지만 살면서 몇 번을 입 밖으로 내뱉었는지는 기억에 없다. 하지만 이가 갈리고 치가 떨리는 경험은 한 적이 있다. 바로 치과에서 스케일링을 받았을 때이다. 처음 스케일링을 받은 기억은 너무도 선명하다. 20대 중반쯤으로 당시엔 비용도 십만 원 정도로 비용이 드는 걸로 기억한다. 치과를 가본 것도 아마 처음이었을 것이다. 누워서 벌린 입 위로 천을 덮고 진동 소리가 나는 기구를 사용하여 스케일링을 하였다. 정말로 이가 갈리고 치가 떨리는 경험은 .. 2023. 9. 7. 머그샷 Mug shot 오늘 뉴스에 눈을 부릅뜬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사진과 기사가 나왔다. 대선 결과를 뒤집으려는 혐의로 기소되었고 조지아주 검찰에 출두해 일시적으로 구치소에 감금되고 머그샷을 촬영했다는 내용이다. 아는 것이 힘이다. '머그샷'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머그샷 mug shot 정식 명칭은 police photograph로 체포된 용의자의 얼굴을 촬영한 사진으로 수사기관이 범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사람 얼굴을 의미하는 은어인 mug에서 유래되었고 이름과 필요한 개인정보가 적힌 판을 들고 정면사진과 측면 사진을 찍는다. 영화나 드라마에서 많이 보았던 줄무늬 옷을 입고 찍은 사진이 머그샷이다. 배경에 줄자와 같은 눈금이 있어서 대략적인 키를 알 수 있게 찍었었지만, 지금은 인권문제의.. 2023. 8. 25. '늘이다' '늘리다' '느리다' '늘이다', '늘리다', '느리다' 정확하게 잘 알고 사용하고 계시나요? 우리가 흔히 잘못 사용하고 있거나 사용하면서도 헷갈리는 표현 중에 ‘늘이다’, ‘늘리다’, ‘느리다’가 있다. 발음과 의미가 비슷해서 일상의 대화에서뿐만 아니라 글을 쓸 때에도 잘못 사용하기가 쉬운 단어다. 표준국어 대사전을 참고한 사전적 의미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늘-이다 [느리다] 활용형 : 늘이어[느리어], 늘여[느려], 늘이니[느리니] 1. 본디보다 더 길어지게 하다. 2. (주로 ‘선’과 관련된 말을 목적어로 하여) 선 따위를 연장하여 계속 긋다. 늘-리다 [늘리다] 활용형 : 늘리어, 늘려, 늘리니 1. 물체의 넓이, 부피 따위를 본디보다 커지게 하다. 2. 수나 분량 따위를 본디보다 많아지게 하거나 무게를 더 나가게 하.. 2023. 8. 25. 이전 1 다음